8개 시.군 식수원 오염 우려 논란
수자원공사, 상수원 규제지역 철폐 본보기 설치··· 년 6억 발전
농어촌공사
신재생에너지 수상태양광도 논란거리··· 자연훼손·생계위협
▲ 보령댐 상수원에 설치된 태양광발전 시설 모습(댐 수면 중앙 검은색 부분)
지난달 25일 보령댐 수상태양광발전 시설이 준공되면서 식수원 오염 우려가 예상되는 가운데 8개 시.군의 상수원인 보령댐 수상태양광발전시설이 도마에 올랐다.
수자원공사는 상수원 규제지역을 철폐하기 위해 본보기로 보령댐에 2000KW 년 6억 원의 발전량(연간 700가구가 사용할 전기)을 생산하는 수상태양광을 설치하여 지난달 준공하였다.
이에 시민단체 및 환경단체들은 신재생에너지사업으로 주목받는 수상태양광발전시설이 상수원에 설치하는 것은 수상경관을 해치는 등 혐오시설이 될 수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수상태양광발전 경험이 4년에 불과한 시점에서 충남 8개 시·군 47만 명의 식수원인 보령댐에 전기 발전시설을 설치하면 식수원 오염이 우려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또한 수자원공사로부터 90억 원을 들여 충주댐에 3㎿ 규모의 태양광 시설을 설치·운영하자는 제안을 받은 충북 충주시는 최근 거부 의사를 전달했다.
관광객이 찾는 충주호의 수려한 경관을 훼손하고 유람선 운행에 방해된다는 이유다. 특히 축구장 5배 크기의 태양광시설이 충주댐에 들어서면 수상레저활동의 폭이 좁아지는 탓이다.
유력한 후보지였던 충주댐 수문 상류 5㎞ 지점 인근 지역 주민들도 시에 반대 의사를 전달했다.
유병남 충주시 에너지팀장은 “충주시가 수상레저사업을 구상하는데 태양광시설을 먼저 물 위에 설치하면 사업계획이 협소해질 수 있다”라며 “충주댐 탓에 각종 규제를 받고 안개손해를 입은 주민과 지자체의 의견을 존중해 수자원공사가 재검토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박일선 충북환경운동연합 대표는 “대체에너지 개발을 무조건 나무랄 일은 아니지만, 지자체, 지역 주민들의 의견도 반영해 추진 여부는 물론 발전시설 위치도 선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자원공사는 수상태양광시설이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과 냉각 효과로 인한 효율적 발전량 증대, 조류발생 억제 등의 효과가 있다며 2030년까지 총 1815㎿ 규모의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을 건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뿐 아니라 지난 1일 경기 안성시 등에 따르면 한국농어촌공사는 15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안성 고삼 저수지에 7783㎡ 규모의 수상태양광발전소 설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농어촌공사는 발전소가 가동되면 500㎾(연평균 200여 가구 사용량)의 전기를 생산해 연간 2억 원의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인근 주민들은 발전소가 들어서면 심각한 자연경관 훼손이 우려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고삼 저수지를 기반으로 양식업(낚시)에 종사하는 주민들은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생계를 위협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고삼면 주민자치위원회 측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사진 촬영하기 좋은 명소로 선정한 고삼 저수지의 자연경관 훼손이 불가피하다”면서 “고삼면 주민의 40%인 800여명이 반대한 서명부를 경기도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한편 청정에너지 보급 확대 및 발전효율 증대를 위한 발전시설 확충도 중요하지만 지역의 특성과 관광잠재 지역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무분별한 수상발전시설이 들어서서는 안 된다는 것이 지역 주민들의 중론이다.
특히 보령의 청천저수지 같은 관광개발 잠재지역의 수상발전시설은 사전에 차단해야 하며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서라도 심사숙고해야 함은 물론 수변개발 역시도 중장기적인 계획에 의해 개발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2016.03.15. 191호 지면보도]
[주간보령] www.btn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