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태흠, 수협을 흔드는 손, 내부 횡령․비리로 5년간 170억원 피해

- 2015년 이후 45건 발생, 피해액 172억원 중 110억원 회수불가 -

- 5년간 외부 대출사기 3126억원 보다 많아 -


수협 내부 직원 등에 의한 횡령배임 등 비리 행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태흠의원(자유한국당, 보령서천)이 수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이후 5년간 발생한 소속원 비리비위 행위는 총 45건으로 사고액만 1718400만원에 달했다. 사고 피해액 중 1093000만원은 회수가 불가해 고스란히 수협의 부담으로 남았다.

 

연도별로 보면 2015년이 2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2016년과 2017년에 각각 10건이 발생했다. 특히 2017년에는 서류위조로 대출한 13억원을 횡령하는 등 101억원의 피해가 발생해 가장 사고규모가 컸다. 지난해는 2건의 사고가 일어났고, 올해도 고객예탁금 5억원 횡령 건 등 2건이 발생하고 있다.

 

수협에서 같은 기간 외부인에 의한 대출사기는 3건 발생했는데 2015모뉴엘 사기 사건등으로 126억원의 피해를 입었다.

 

수협 내부의 비리비위 행위와 대출사기 등 외부 사건을 비교하면 소속원에 의한 사건이 10배 이상 많이 발생하고 있어 내부 통제를 시급히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태흠의원은 신뢰를 생명으로 하는 금융 기관에서 내부인에 의한 횡령 등의 사고는 치명적이다.”소속원의 윤리의식 강화 및 비리 통제 장치를 강화해 사고 발생을 근절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수협은행 및 조합의 횡령배임 등 소속원 비리 발생 현황

(단위: , 백만원)

연도

사고

건수

사고

금액

회수액

사례

2019

2

552

541

고객예탁금 5억원 횡령

2018

2

223

200

미화 2만불 횡령

2017

10

10,138

6,171

서류위조로 13억원 대출 횡령

2016

10

2,271

1,596

사문서 위조로 3억원 대출 횡령

2015

21

4,000

2,422

명의도용, 서류위조로 7억원 대출 횡령

합계

45

17,184

10,930

 

 

 

수협은행 및 조합 사기대출 등 사고 발생 현황

(단위: , 백만원)

연도

사고

건수

사고

금액

회수액

사례

2019

-

-

-

 

2018

-

-

-

 

2017

1

250

-

법무사 횡령

2016

1

400

-

허위 임대차 계약 대출

2015

1

12,000

6,000

모뉴엘 대출사기

합계

3

12,650

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