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오천초, 상상의 날개를 펼친 1일 상상이룸교실에 다녀왔어요 오천초등학교(교장 신동헌)는 7월 12일 오전 9시 30분부터 14시 30분까지 본교 6학년 학생들이 보령상상이룸교육센터에서 1일 상상이룸교실을 실시했다. 보령상상이룸교육센터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융합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목표로 기존의 정곡과학센터를 완전 새롭게 리모델링 및 신축하여 7월 5일에 개관하였다. 이 날 학생들은 최신의 기자재와 체험교실에서 환경보호의 업사이클링 키링 만들기, 스마트 드론 날리기, VR 체험기기를 이용한 가상현실 체험 등 평소에 체험하지 못 했던 다양한 상상이룸 교육활동을 체험해 보았다. 이번 1일 상상이룸교실 체험을 기회로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과학적 원리를 발견하고 4차 산업혁명에서 필요한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신장시켜서 다가오는 미래 사회에 우수한 인재를 거듭나기를 .. 더보기 오천초, 찾아가는 과학 탐구의 날 즐거운 과학 ! 신나는 수학 ! 과학수학아카데미로 배워요 오천초등학교 (교장 신동헌 )는 6월 24일(목)충청남도교육청과학교육원의 ‘과학수학아카데미 ’ 찾아가는 과학 탐구의 날을 운영하였다. 과학수학아카데미는 충청남도과학교육원에서 직접 학교를 방문하여 다양한 과학 탐구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코로나 19 상황에서 교사와 학생들은 코로나 19 감염병 예방 수칙을 준수하며 행사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학년군별로 자석의 신비, 우리 몸의 신비. 신재생에너지로 전기 생산하기, 게임을 통한 수학 팀 협동 학습 등 다양한 주제의 프로그램에 즐겁게 참여하여 탐구활동을 하였다. 평소에 경험하기 힘든 다양한 주제로 학생들은 높아진 관심과 흥미로 과학에 대한 열의를 보였다. 더보기 오천초, 무령왕릉에서 백제 역사의 비밀을 찾았어요 -찾아가는 「백제 역사 문화학교 」를 열다 오천초등학교 (교장 신동헌 )는 4. 27.(화 ), 3, 4학년을 대상으로 보령교육지원청에서 교육복지 우선 사업으로 실시하는 찾아가는 「백제 역사 문화학교」를 열어 우리 지역의 문화유산을 공부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장충희 연구원을 강사로 어려운 시기 백제를 부흥시킨 무령왕과 무령왕릉을 통한 백제의 비밀을 찾아내고, 3D 퍼즐을 활용한 입체 퍼즐로 무령왕릉을 직접 만들어보며 만지고 체험하는 역사 교육을 실시했다. 장래 과학 분야 교수가 꿈인 4 학년 황 ○○ 학생은 “역사에 대해 쉽게 가르쳐주시는데, 언제부터 역사에 관심이 있었나요 ?”, “대학교수가 되려면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요?” 등을 질문하며, 자신의 진로에 대한 질문을 하기도 하.. 더보기 동대초, 과학적 호기심과 창의성을 키워요! 대천동대초등학교(교장 이영하)에서는 2일 교내 창의융합형 융합과학탐구대회를 실시하였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2인 1팀에서 1인 1인팀으로 변경하여 생활 속 거리두기 및 방역지침을 철저히 지키며 과학에 흥미가 있는 4~6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대회는 작품 제작 전 설계도를 그려보고 자신이 그린 설계도에 따라서 주어진 재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STEAM(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의 영역을 최적으로 융합하여 튼튼한 구조물을 만들고 골프공을 많이 쌓아 올리는 미션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작품 설계도와 구조물의 완성도, 구조물의 높이, 올린 탁구공의 개수 등 최종 산출물까지 종합한 결과 주름 빨대와 이쑤시개, 마시멜로를 이용하여 만든 창작물에 골프공 20개를 올린 6학년 기00 학생이.. 더보기 동대초등학교, 뿌리GO! 학교 텃밭에 벼가 자라요! 도농 교류 수업 실시 대천동대초등학교(교장 이영하)는 22일과 23일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 및 과학 교과와 연계하여 우리 지역의 촌락 및 식물의 한살이에 대한 이해를 위해 본교 시청각실과 학교 텃밭에서 도농 교류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번 체험학습은 ‘뿌리GO 가꾸GO 거두GO’ 프로젝트 중 첫 번째 ‘뿌리GO’ 단계로 학생들이 ‘농업은 생명이다’ 주제로 농촌 교사로부터 강의와 관찰 활동으로 진행됐다. 행사에 참여한 4학년 이아인 학생은 “학교 텃밭에 모내기한다는 것이 신기했지만, 막상 실제로 관찰해보고 만져보니 참 재밌고 뿌듯했다. 모내기를 통해 우리가 먹는 쌀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었다”며 소감을 이야기했다. 한 해 동안 도농 교류 수업을 통해 학교 텃밭에서 벼를 가꾸며 농민의 마음을 생각해..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