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령지역환경교육센터

보령시, 탄소중립도시로의 전환 준비 박차 탄소중립 실천 사진(9월 9일 충남도지사 방문 시민과의 대화) 탄소중립 실천 사진(2024 보령 AMC 국제 모터페스티벌 연계 자원순환 홍보부스) 탄소중립 실천 사진(기후변화주간 탄소중립 캠페인(2024. 4.)) 탄소중립 실천 사진(버스킹 텀블러 나눔) 탄소중립 실천 사진(전국해양스포츠제전 당시 홍보부스)전 부서 협력해 탄소중립도시로의 전환 가속화  보령시는 다양한 사업과 캠페인, 교육 활동을 통해 탄소중립도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먼저 지난 4일 환경부, 국토부 주관 탄소중립 선도도시 조성 공모 1차에 선정됐으며, 앞으로 대한민국 탄소중립의 심장, 보령>을 주제로, 핵심사업 27개, 2030년 목표 감축량 327만 톤을 제시하며 화력발전 도시에서 신재생에너지 선도 도시로 대전환을 준비한다. .. 더보기
보령시, 탄소중립도시로의 전환 준비 박차 탄소중립 실천 사진(9월 9일 충남도지사 방문 시민과의 대화) 탄소중립 실천 사진(2024 보령 AMC 국제 모터페스티벌 연계 자원순환 홍보부스) 탄소중립 실천 사진(기후변화주간 탄소중립 캠페인(2024. 4.)) 탄소중립 실천 사진(버스킹 텀블러 나눔) 탄소중립 실천 사진(전국해양스포츠제전 당시 홍보부스)전 부서 협력해 탄소중립도시로의 전환 가속화  보령시는 다양한 사업과 캠페인, 교육 활동을 통해 탄소중립도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먼저 지난 4일 환경부, 국토부 주관 탄소중립 선도도시 조성 공모 1차에 선정됐으며, 앞으로 대한민국 탄소중립의 심장, 보령>을 주제로, 핵심사업 27개, 2030년 목표 감축량 327만 톤을 제시하며 화력발전 도시에서 신재생에너지 선도 도시로 대전환을 준비한다. .. 더보기
보령시기후변화교육센터, 시민과 함께하는 생물다양성 탐사활동 시 6월~7월 중 보령시민이 참여하는 생물다양성 탐사활동 추진- 생활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다양한 생물종 탐사탐사활동지에 기록 후 원본과 함께 제출참여자 모두에게 봉사활동+답례, 우수참여자 시상, 통합본 발간 등  보령시기후변화교육센터(보령지속협 위탁운영)에서는 국제생물다양성의 날 및 환경의 달을 맞이하여 보령시민이 참여하는 “생물다양성 탐사 활동”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생물다양성 탐사활동]은 보령시민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생활공간 인근에서 발견할 수 있는 생물종(7개 분류군-식물,곤충,조류,어류, 양서⋅파충⋅포유류)에 대해 탐사한 내용을 기록하여 원본사진과 함께 제출하는 방식이다. 매년 5월 22일은 국제생물다양성의 날로 기념하고 있기에 금번의 탐사활동은 오는 7월 말까지 탐사활동을 통해 기록된 우리주.. 더보기
2024년 제1기 지역환경교육강사 양성과정 교육생 모집 2024년 03월 07일 보령지역환경교육센터 보령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모집기간 : ~ 3월 26일 개강식 전 모집대상 : 환경교육 및 생태교육에 관심이 많고, 환경교육강사로 활동하고 싶은 의지가 있는 보령시민 모집인원 : 20명(보령시 거주 청·장년 미취업자 우대) 교육기간 : 3월26일-4월11일(화,목,금) 교육장소 : 보령시기후변화교육센터 2층(수협장례식장 입구) 교육내용 : 8차시 교육(환경교육, 서울에너지드림센터 견학, 수업시연) 신청방법 : 신청서 작성 후 제출 e메일(nadan1475@hanmail.net), 팩스(931-9992) 신청조건 : 보령시 거주자, 적극적으로 교육 참석자 교육혜택 : 교육비무료, 수료증발급(80% 출석자), 환경교육 등 출강 - 본 교육은 대내외 상황에 따라 변동 .. 더보기
보령환경교육센터, 해설사와 함께하는 ‘소황사구 플로깅’펼쳐 - 보령지역환경교육센터, 특색 프로그램으로 운영 - 소황사구, 환경부 및 해수부 지정 보전·보호구역 보령지역환경교육센터에서는 다가오는 9월 2일(토)부터 10주간(명절제외) 보령시 웅천읍 소황사구 일원에서 ‘해설사와 함께하는 플로깅’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소황사구는 웅천읍 독산리 해안부터 소황리 해안까지 약 2.5㎞ 해안에 12만 1358㎡ 면적으로 형성된 해안사구이며, 자연재해로부터 배후지역을 보호하고 내륙으로 소금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등을 하고 있다. 특히 소황사구는 전체 면적이 거의 훼손되지 않고 원형이 잘 보존돼 있는 사구로 꼽히며, 천연기념물 노랑부리백로, 검은머리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등 보호대상 해양생물이 살고 있다. 이에 소황사구는 지난 2005년 환경부로부터 생태경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