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목보일러

보령소방서, 화목보일러로 따뜻하면서 안전한 겨울 보내기 당부 보령소방서(서장 고광종)는 겨울철 화목보일러 사용이 늘어나는 시기를 맞아 화재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화목보일러와 관련된 화재는 전국적으로 815건 발생했으며, 재산피해액은 116억 원에 이른다. 특히, 겨울철인 12월부터 2월 사이에만 473건(58%)의 화재가 발생해 주의가 요구된다.  화목보일러는 난방비 절감을 이유로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관리 부주의 시 연통 부식이나 주변 가연물로 인한 화재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힌다.  보령소방서는 시민들이 안전하고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화목보일러 사용 수칙을 안내했다.▲사용 전 점검 ▲가연물과 보일러는 2m이상 거리 유지 ▲화목보일러 근처 소화기.. 더보기
보령소방서, 부주의 화재 위험 제품 안전사용 당부 보령소방서(서장 강윤규)는 18일, 부주의 화재에 대한 시민들의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일상 속 화재위험 제품의 안전사용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소방서에 따르면 보령시 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부주의에 의한 화재 발생 건수는 총 279건으로 집계됐고, 10명의 인명피해와 4억 6천만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주의에 의한 화재는 조금만 더 주의를 기울여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평상시 안전수칙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소방서에서는 부주의에 의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전기제품은 콘센트 주변 정리와 함께 전선의 훼손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하고 △가스레인지는 주변에 화기 용품을 두지 않고 환기를 자주 시켜야 하며 △가스보일러의 경우 배기관 이상 .. 더보기
보령소방서, 화목보일러 사용 주택 화재예방 당부 보령소방서(서장 강윤규)는 최근 기온이 낮아지는 가운데 시민들의 화목보일러 사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12일 밝혔다. 충남소방본부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화목보일러 화재는 총 252건으로 1일 평균 0.14건 발생했으며, 이 중 부주의에 의한 화재가 181건(71.8%)로 집계됐다. 또한, 화목보일러는 목재를 연료로 하여 주변에 가연물을 쌓아두는 경우가 많고 자동 온도조절장치가 없어 고온이 주변 가연물로 전달되어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될 위험이 높다. 이에 소방서에서는 화목보일러 사용 127가구(19%)에 대하여 초기진화용 자동확산소화기를 보급하였고, 올 12월말까지 화목보일러사용 전 가구에 100% 보급할 예정이다. 또한, 소방서에서는 화목보일러를 사용할 경우 △보일.. 더보기
보령소방서, 겨울철 전기 화재 주의 당부 보령소방서(서장 방장원)는 겨울철 추워지는 날씨에 보온·난방용 전기용품 사용의 증가로 화재 발생률이 높아짐에 따라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겨울철 가장 많이 사용하는 3대 전기용품인 ‘전기히터·전기장판, 전기열선, 화목보일러’는 체온 유지를 위해 필요하지만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고 사용을 하면 화재 발생과 인명피해의 우려가 매우 높다. 이에 소방서는 겨울철 전기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인증(KC마크) 제품 확인 ▲전열기구 사용 전 플러그 손상ㆍ전선 피복 벗겨짐 확인 ▲사용 전, 사용 시, 사용 후, 보관 시 안전관리 방법 ▲외출 시 전열기구 플러그 뽑기 ▲전기용품 주변 가연물 제거 및 소화기 비치 등 안전수칙 준수를 강조했다. 김윤정 대응예방과장은 “춥고 건조한 겨울철에는 사소한 부주의.. 더보기
보령소방서, 겨울철 난방기기 사용 주의 당부 보령소방서(서장 방상천)는 최근 추워진 날씨로 인해 난방용품 사용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난방기기 사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4일 밝혔다.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3대 겨울용품 화재는 화목보일러 148건, 전기열선 174건, 전기히터·장판은 318건으로 겨울철 화재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주의사항이 요구된다. 난방기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장시간 사용 금지 ▲적정 온도 준수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 금지 등의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또, 정식 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고 다른 난방기기와 동시 사용은 자제해야 한다. 전기를 사용하는 난방기기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감전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다급한 마음에 물을 뿌려서는 안 되며, 우선 전기코드를 .. 더보기
보령소방서, 화목보일러 사용 안전수칙 홍보 보령소방서(서장 방상천)는 날씨가 쌀쌀해지면서‘화목보일러’사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안전수칙 홍보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충청남도 내 화목보일러 화재는 2018년 41건, 2019년 49건, 2020년 9월 말 기준 39건으로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주로 가연물(장작) 근접, 연통 과열, 전기적 원인 등으로 일어난다. 화목보일러는 일반 보일러와 달리 자동 온도조절장치를 비롯한 각종 안전장치가 설치돼 있지 않아 이용자가 주의사항을 확실하게 인지하고 실천해야만 화재 위험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주요 안전수칙은 ▲보일러 주변에 가연성 물질 적재 금지 ▲보일러실 인근에 소화기 비치 ▲나무 연료 투입구를 닫아 불씨 날림 방지 ▲연통에 찌꺼기가 쌓이지 않도록 .. 더보기
보령소방서, 화목보일러 사용 안전수칙 홍보 보령소방서(서장 방상천)는 날씨가 쌀쌀해지면서‘화목보일러’사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안전수칙 홍보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충청남도 내 화목보일러 화재는 2018년 41건, 2019년 49건, 2020년 9월 말 기준 39건으로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주로 가연물(장작) 근접, 연통 과열, 전기적 원인 등으로 일어난다. 화목보일러는 일반 보일러와 달리 자동 온도조절장치를 비롯한 각종 안전장치가 설치돼 있지 않아 이용자가 주의사항을 확실하게 인지하고 실천해야만 화재 위험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주요 안전수칙은 ▲보일러 주변에 가연성 물질 적재 금지 ▲보일러실 인근에 소화기 비치 ▲나무 연료 투입구를 닫아 불씨 날림 방지 ▲연통에 찌꺼기가 쌓이지 않도록 .. 더보기
보령소방서, 화목보일러 주택화재 또 발생 ‘주의’ 겨울철 화목보일러 안전관리 당부 보령소방서, 지난 5일 보령시 청라면 황룡리 한 주택에서 발생한 화목보일러 화재 장면 보령소방서(서장 김현묵)는 최근 농촌지역에 상대적으로 설치·유지 비용이 저렴한 화목보일러 사용이 늘고 있지만 화재 위험도 함께 증가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