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썸네일형 리스트형 보령해경, AI활용 업무효율 향상 외래강사 초빙 교육 보령해양경찰서(서장 총경 한상규)는 18일 청사 3층 대강당에서 전직원을 대상으로 AI시대 업무효율 향상을 위한 생성형 AI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AI전문 강의기업인 ‘다독스마트러닝연구소 최영 대표’가 진행하며, 인공지능의 발전에 따라 급변하는 업무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각 분야의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주요교육으로는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도구를 활용한 기획서, 보고서, 보도자료 등 작성 ▲AI를 활용한 해양자료 수집 및 활용방법 등 실질적인 실습 위주로 진행되었다. 보령해경서는 이번 AI교육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추후 ‘AI 경연대회’ 등을 개최하여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AI활용 방안을 이끌어낼 예정이다. 한상규 보령해.. 더보기 보령교육지원청, 2024학년도 1학기 지역연계 공동교육과정 개강 충청남도보령교육지원청(교육장 백정현)은 지난 27일 2024학년도 1학기 참학력 지역연계 공동교육과정 개강을 맞아 격려 방문을 실시했다. ‘참학력 공동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지역연계 공동교육과정은 교육지원청이 주관하여 지역 내 고등학교와 연합으로 과목을 개설하고 운영하는 정규교육과정이다. 공동교육과정은 학교에 개설되지 않은 과목을 자신의 진로와 적성을 고려해 선택하고 이수함으로써 개방적이고 유연한 학생 선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충청남도보령교육지원청은 대천고등학교와 대천여자고등학교를 거점학교로 하여 총 3개 학교의 111명이 참여하는 가운데, 공학일반, 교육학, 심리학(A/B), 창의경영, 인공지능 기초, 인체 구조와 기능(A/B), 생명과학실험 등 9개 과목을 개설하여 운.. 더보기 보령교육지원청, 2022 인공지능 활용 초등 수학교육 교사의 현장 적용력 강화 - 인공지능 활용 초등수학(똑똑수학탐험대와 수학 톡톡) 교사 연수 실시 - 보령교육지원청(교육장 김영화)은 11월 29일(화) 보령상상이룸교육센터에서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인공지능 활용 초등수학(똑똑수학탐험대와 수학 톡톡) 연수를 실시하였다. 이번 연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학생의 수학적 역량을 키우는 교육 실현을 위해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연수였다. 이를 위해 도산초등학교 교사를 초청하여 수학교육에 대한 교실수업개선과 함께 “똑똑! 수학 탐험대” 활용 활성화를 강의하였다. 연수에 참여한 한 교사는 “인공지능 활용 초등수학 지원시스템을 통해 학생들의 수학 학력 양극화에 대한 고민을 좀 덜 수 있었다.”라고 했다. 김영화 교육장은 “초등교사의 수학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해 실습 중심의 연수와 함께 학생들에.. 더보기 대천동대초, 우리는 미래를 이끌어갈 창의융합 영재! 2022학년도 AI영재학급 입학식 대천동대초등학교(교장 김용남)에서는 4월부터 11월가지 매주 토요일 인공지능(AI)영재학급(이하 AI영재학급)을 운영할 예정이며 4월 23일 본교 상상놀이터 교실에서 입학식을 개최하였다. AI영재학급은 보령관내 초등학교 5학년 학생 중 선발고사를 통해 13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인공지능의 이해 및 체험, 데이터마이닝과 프로그램’ 등 인공지능 및 로봇과 관련된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을 배우게 된다. 또한 제시된 주제에 따라 개별적 혹은 공동으로 연구를 하고, 자신들이 연구한 프로젝트를 발표하는 등 미래 창의융합적 인재로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관심을 가지는 분야에 대해 집중 탐구할 예정이다. 김용남 교장은 “미래 인재는 기존의 다양.. 더보기 오천초, 충남소프트웨어교육체험센터에서 오천초 학생들, 상상력을 코딩했어요! 오천초등학교(교장 신동헌)는 11월 26일(금) 본교 5,6학년 학생들이 충남 홍성에 있는 충남소프트웨어교육체험센터에서 운영하는 인공지능·소프트웨어교육 학생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오전에는 코딩프로그램인 mBlock을 활용한 빛 조절 무드등을 만들어 보았고, 오후에는 엔트리를 이용하여 햄트리 축구 코딩을 하여 직접 로봇 축구 시합을 해 보았다. 이번 인공지능·소프트웨어 교육체험을 통해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발견하고 4차 산업혁명에서 필요한 문제해결력과 컴퓨팅 사고력을 신장시켜 다가오는 미래 사회에 우수한 인재로 거듭나기를 기대해본다. 더보기 이전 1 다음